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Git] 원격저장소와 연결하기 1. 로컬저장소 지정 로컬저장소로 지정할 폴더(내 컴퓨터의)로 이동한 후 git init으로 초기화 요런 .git폴더가 생기면 성공! 2. 원격 저장소와의 연동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이름) (깃허브주소) git remote를 했을때 설정한 원격저장소 이름이 나오면 성공! gir remote : 등록된 리모트 저장소 이름을 보여준다. *) 깃허브 주소 위치 자신이 생성한 원격저장소(Repository)로 가서 초록색 Code 버튼누르고 해당 주소 복사 3. 원격저장소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git clone 해보기 git clone (데이터를 가져올 원격저장소) (주소) remote 메세지와 done 메세지가 뜬다면 성공! **) Could not read remote repository 인증.. 더보기
[Udemy Web 부트캠프] 섹션 19,20,21 루프의 구조, 함수란?, 함수 레벨업 섹션 19 루프의 구조 for of 메소드와 객체에는 .length같은 길이가 없어서 for of에 사용할 수 없다 (반복가능한 객체가 아니기 때문에) 그래서 Object.key()와 Object.value()등을 이용해서 for of 문을 돌릴수있다. 해당 메소드들은 키값과 value값을 배열로 만들어서 반환하기 때문에 for of를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For(let score of Object.values(객체명)){ } 18) { input = prompt(`The number is lower then ${input}`); } } //미니 ToDo List만들기 let todoes = []; let countTodo = 0; let input = prompt("명령어를 입력해 주세요!"); w.. 더보기
[Infrearn]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을 시작! Intellij 설정과 자바설치, 버전오류, Junit 버전 오류를 거쳐 드디어 환경설정 1강을 끝냈다.내가 서버에대해 지식이 부족했단 걸 깨달았다. 일단 활용편을 훑은 후 기본편을 들을 생각이다.  용어정리ORM (Object-Relational Mapping) - 객체 관계 매핑:객체는 객체대로 설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대로 설계ORM프레임 워크가 중간에 객체와 DB를 매핑해준다.ORM은 객체와 RDB 두 기둥 위에 있는 기술 JPA (Java Persistence API):  현재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인터페이스의 모음이다. Spring Framework:Application 프레임워크, OpenSource SW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좀 더 쉽게 하기위.. 더보기
코딩테스트 기초쌓기 앞으로 알고리즘 공부를 시작하려한다. 나는 어느정도 가이드라인이 있는 공부를 좋아하는데, 이전에 알고리즘 공부하는데 애먹은 적이 있어 인터넷에 검색을했다. 아니나 다를까 코딩테스트의 시작은 누구나 힘든 여정인것 같다. 글들을 찾아보던 중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plzrun님의 블로그를 따라가 볼까한다. ​ plzrun님이 쓴 내용을 간추리자면 ​ 1. 아래 문제들을 4주안에 빠르게 푸는 것을 권장 2. 1시간 이내에 풀리지 않는 문제는 모르는 것이므로 개념이나 다른사람의 코드를 참고(AC받은 코드들) 3. 자신이 모르는게 뭔지 파악하고 빠르게 넘어간다. 종만북이라는 책을 처음부터 봐도 좋으나, 이는 모르는 부분을 채워가는 속성법임. 다만 기초 입출력 10분이 넘어간다면 모르는 부분이 있다는것, 꼭 잘하는.. 더보기
[Udemy Web부트캠프] 공부일지 3일차 후기 * Udemy 강의가 괜찮다는 말을 듣고 사이트에 들어갔더니 내가 원하는 강의와 커리큘럼으로 Best강의가 있어서 바로 구매했다. * 강의 품질이 정말 좋은데 옜날엔 그냥 외우고 지나갔던 것들을 왜 중요한지 하나하나 알려주고 깊게 파고든다. 그리고 암기보다는 이해를 시키려는 방식이 정말 좋다.(하지만 초급부분은 이미 지식이 있어서 지루할 수도 있을 것 같다.) * 흥미를 유발하고 무엇보다 영어라서 집중하게 된다 ㅋㅋ * 하지만 문서에서 왜 h1~h6를 나눴는지, 웹 페이지를 만들때 label의 접근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시맨틱 태크가 왜 중요한지 등등 스크린 리더 사용자들을 예시로 들어서 알려주는데 기억에 정말 잘 남았다. [섹션 2. Web 개발이란?] 3/17 [섹션 3. HTML 기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