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는 검색엔진 최적화를 뜻하며, 웹사이트나 웹페이지가 검색엔진의 검색결과에서 상위에 노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전략과 기술을 말한다.
웹사이트 검색을 통해 상단에 게시되면 사이트의 트래픽을 증가시킬 수 있다.
SEO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온페이지 SEO (On-page SEO)
- 온페이지 SEO란 사이트 내부의 요소를 최적화 하여 검색 엔진과 사영자에게 관련성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이작업은 콘텐츠와 HTML 요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콘텐츠 최적화 : 검색어와 관련높은 키워드들을 글에 게시하는게 속한다.
- 메타 태그 : 페이지의 제목 태그와 설명태그를 최적화해서 (title, description) 검색엔진이 잘 이해할 수 있게 한다.
- 이미지 최적화 : 이미지에 alt 태그를 대체텍스트를 만들어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걸 뜻한다.
- url구조 : url구조에 키워드를 포함하면 검색엔진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오프페이지 SEO(off-page seo)
- 사이트 외부에서 seo를 높이기 위해 최적화 하는 작업을 뜻한다. 즉 외부에서 사람들이 링크를 타고 오도록 하는 전략이다.
- 백링크 : 다른 사이트에서 내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 만들기 < 신뢰도와 권위성을 높여 검색엔진 순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한다.
Google SEO 검색단계 3가지
1. 크롤링 (crawling) :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페이지 내용을 수집하는 과정
- 구글 봇이 인터넷의 웹페이지를 탐색하고 수집
- 크롤러가 수집하지 못하는 사이트는 검색결과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2. 인덱싱 (Indexing): 검색엔진이 웹페이지를 수집하고 분류하는 과정
- 수집한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해서 검색할 때 사용될 수 있게 변환
- 검색엔진의 데이터페이스에 해당 페이지가 수록된다.
3. 검색 결과 제공(Serving search results)
: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구글은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페이지를 디비에서 찾아 결과페이지에 노출
- 검색어와 관련성이 높은 페이지부터 검색결과에 나타내게 하는 순서결정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 즉 우리는 검색어와 관련된 콘텐츠 + 구글 봇이 잘 이해할 수 있게 글을 게시해야 한다.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위한 방법
- 메타태그
- title, description, 본문 계층 구조 (Heading)에서 키워드 설정이 중요
- open-graph
- 사이트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될 떄 나타나는 메타데이터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이다,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링크가 눈에 띄어서 더많은 클릭과 공유를 유도할 수있다.
위 예시이미지에서 프론트엔드 성능측정이 타이틀, 그 밑이 설명, 그리고 이미지까지 삼박자를 갖춘다.
- 사이트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될 떄 나타나는 메타데이터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이다,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링크가 눈에 띄어서 더많은 클릭과 공유를 유도할 수있다.
- 시맨틱태그
- 의미가 명확한 태그를 사용해서 페이지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해서 검색엔진이 페이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예전엔 그냥 div로 다 작성했는데 이젠 그러면 안될 것 같다.)
- robot.txt와 sitemap.xml
- robot.txt파일은 검색엔진 크롤러에게 웹사이트 내 특정페이지에 접근할지 말지를 지시하는 파일이다.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있고 www.yoursite.com/robots.txt 같은 경로로 접근할 수 있다.
- 이 파일은 크롤러가 웹사이트를 크롤링 할 때 우선적으로 확인하는 파일로 특정페이지나 폴더의 접근을 제한 할 수 있다.
- robot.txt 사용법
- User-agent: 특정 검색 엔진 크롤러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User-agent: Googlebot은 구글 크롤러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User-agent: *는 모든 크롤러를 대상으로 한다.
- Disallow: 특정 디렉토리나 페이지에 접근하지 않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어, Disallow: /private/는 /private/ 디렉토리 접근을 금지를 명령한다.
- Allow: Disallow된 디렉토리 내의 특정 페이지나 파일에 대해 접근을 허용한다.
- Sitemap: robots.txt 파일 안에 사이트맵의 위치를 추가하여 크롤러가 더 쉽게 사이트 구조를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
- 사이트맵 (sitemap)
-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 URL을 나열하여 검색 엔진이 사이트 구조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파일이다. 일반적으로 sitemap.xml 형식으로 저장되며, 모든 페이지의 URL과 함께 마지막 업데이트 날짜, 페이지 중요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트맵은 검색 엔진이 효율적으로 콘텐츠를 인덱싱하도록 지원한다.
- 사이트맵의 중요성
- 빠른 인덱싱: 검색 엔진이 사이트맵을 통해 모든 페이지를 빠르게 찾아내어 새 페이지나 수정된 페이지가 더 빠르게 인덱싱될 수 있다.
- 페이지 우선순위 설정: 검색 엔진이 중요한 페이지를 우선적으로 크롤링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 사이트맵 사용방법
- <urlset> 태그: 사이트맵의 루트 요소로, 사이트 내 URL 리스트를 감싼다
- <url> 태그: 각 URL을 정의하는 요소로, 사이트의 페이지별 정보를 포함한다.
- <loc> 태그: 페이지의 URL 주소를 지정한다.
- <lastmod> 태그: 페이지의 마지막 수정 날짜를 지정하여 최신 페이지가 먼저 인덱싱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 <changefreq> 태그: 페이지 업데이트 빈도를 지정하여 크롤러가 얼마나 자주 이 페이지를 크롤링해야 할지 알린다.
- <priority> 태그: 페이지의 중요도를 지정하는데 값은 0.0에서 1.0 사이의 소수로, 검색 엔진이 더 중요한 페이지를 우선 인덱싱하도록 안내한다.
예시
XML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url>
<loc>https://www.yoursite.com/</loc>
<lastmod>2024-11-10</lastmod>
<changefreq>daily</changefreq>
<priority>1.0</priority>
</url>
<url>
<loc>https://www.yoursite.com/about</loc>
<lastmod>2024-10-01</lastmod>
<changefreq>monthly</changefreq>
<priority>0.8</priority>
</url>
</urlset>
조사는 끝냈으니 다음엔 직접 SEO를 최적화 해보자.
참고사이트
https://blog.insilicogen.com/103
손쉽게 웹사이트 검색 엔진 최적화(SEO)하는 5가지 방법
검색 엔진 최적화-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란,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 웹사이트 또는 웹페이지의 상위 노출도를 높이는 작업입니다. 페이지 상단에 뜰수록 유저들의 방
blog.insilicogen.com
'Develog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부채 해결하기] SSE(Server-Sent-Event)와 WebSocket (0) | 2025.02.16 |
---|---|
시맨틱 태그 (SemanticTag) (1) | 2024.11.30 |
[꼬랑지랑] next.js 사이트 개선기 (2) 이커머스 상세페이지 더보기 구현 (1) | 2024.10.26 |
[리액트 성능최적화] useCallback 과 useMemo의 차이와 React.memo (0) | 2024.08.17 |
실전으로 배우는 웹 성능 최적화 for React (2) | 2024.07.20 |